트럼프가 한반도 통일, 한미동맹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2017년 1월 26일 Jefferson Educational Society 이란  Think Tank에서 우리 미국대표, Mercyhurst University 이란 대학교 교수 마이클 람브라우는 트럼프가 동아시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건지에 대한 강의 했다. 처음으로 Erie 이란 도시에서 한미동맹, 한미동맹 미래, 한반도 통일에 한미동맹 중요성에 대해 토크 했다. 

관심을 많이 갖게 된 관람객들은 앞으로 한미동맹, 통일, 트럼프에 대해 토크를 많 했으며 굉장히 궁금하게 보였다. 동아시 현황은 과거, 미래에 대해 강의 했으며 역사적인 문화적인 시각으로써 왜 동아시아에  갈등 생길 가능성 높은지 말씀드렸고 해결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렸다. 

 
"언어 및 문화를 알아야, 알아들 수록 커뮤니케션 더 잘 될 수 있다. 우리가 앞으로 소셜미디어 때문에 어떤 메시지, 어떤 의미를 전달하는 지 주의해야되고, 위에서부터 나오는 시민목소리를 이해해야되고, 인정하거나 제대로 답장할 필요가 있다."
~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Arirang Institute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Arirang Institute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Arirang Institute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Arirang Institute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

"제가 많이 배웠는데, 소셜미디어 그렇게 힘이 있고 우리 세상, 사회, 정치, 경제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것을 잘 몰랐다. 누구나 도발적인 비디오나 사진을 올리고 전쟁까지 일으킬 수도 있고, 아니면 좋은 의미로 부정부패를 밝히기 위해서는 기사를 쓰고 전세계적으로 확산을 시키고 온라인 시민의 마음을 움직일 수 있는 것이 대단하다고 생각한다." 
~ 관람객

 

한국의 젊은이들은 무엇을 원하나요?

Ku Yaerin, Kyung Hee University Student speaks about the Korean youth perspective.

Ku Yaerin, Kyung Hee University Student speaks about the Korean youth perspective.

The recent protests in Korea against the Park administration have stunned the world and brought new attention to Korea’s position as a vibrant democracy. Notable is the number of young people involved in those protests, inclu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have poured into the streets demanding change. But what sort of change, exactly, do they want? In this seminar we explored the background of these protests and consider their implications for Korea’s future domestic and international policies.

최근 박근혜 행정부에 대한 한국의 시위는 세계를 깜짝 놀라게하고 역동적 인 민주주의로서 한국의 위상에 새로운 관심을 가져왔다. 주목해야 할 것은 변화를 요구하는 거리에 쏟아 부은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포함하는 시위에 참여한 젊은이들이다. 그러나 정확히 어떤 종류의 변화를 원합니까? 이 세미나에서 우리는 이러한 시위의 배경을 탐색했고 한국의 미래 국내 및 국제 정책에 대한 시사점을 고려했습니다.

Introductory Remarks: Dr. Emanuel Pastreich, Director at The Asia Institute

Moderator: Ms. 이진우, Journalist at Journalists Association of Korea

Speaker: Mr. Michael Lammbrau, US Representative at Arirang Institute

Speaker: Ku Yaerin, Kyung Hee University Student

Left to Right: Professor Michael Lammbrau;  Journalist Ms. Lee Jin-woo 

Left to Right: Professor Michael Lammbrau;  Journalist Ms. Lee Jin-woo 

Left to Right: Professor Emanuel Pastreich; Professor Michael Lammbrau;  Journalist Ms. Lee Jin-woo; Ku Yaerin, Kyung Hee University Student

Left to Right: Professor Emanuel Pastreich; Professor Michael Lammbrau;  Journalist Ms. Lee Jin-woo; Ku Yaerin, Kyung Hee University Student

Divided Families at UPenn

The Korean War left the Korean peninsula divided on the 38th parallel in 1953, and separated millions of families, many of whom have not seen each other in over fifty years. The two Koreas are still at war to this day, and the US does not yet have diplomatic relations with North Korea. There are 100,000 Korean Americans alone with immediate family members in North Korea, and for many of these individuals, it is their last wish to see their families once more. 

Mr. Daniel Lee, Korean Affairs Fellow of Rep. Charles Rangel & DFUSA Institutional Outreach Director

Mr. Daniel Lee, Korean Affairs Fellow of Rep. Charles Rangel & DFUSA Institutional Outreach Director

On Monday, November 21 Penn for LiNK, Penn KSA and Asian Law and Politics Society, worked with Divided Families USA to make these wishes come true. It was an evening of deep reflection on the issue and what individuals can do to help these families be reunited. The official website for the Divided Families organization can be found here and a recent clip of the documentary on Arirang TV can be found below.

he short film was followed by a panel discussion of three distinguished guests: Mr. Michael Lammbrau, US Representative of Arirang Institute; Mr. Benjamin Katzeff Silberstein, North Korea expert; and Mr. Henry Song, North America Director for No Chain. The discussion was moderated by Mr. Daniel Lee, Korean Affairs Fellow of Rep. Charles Rangel & DFUSA Institutional Outreach Director.

Mr. Daniel Lee, Korean Affairs Fellow of Rep. Charles Rangel & DFUSA Institutional Outreach Director.

Mr. Daniel Lee, Korean Affairs Fellow of Rep. Charles Rangel & DFUSA Institutional Outreach Director.

Photo by TanjalaGica/iStock / Getty Images
Photo by TanjalaGica/iStock / Getty Images

이산가족들은 리더십을 찾는다

 

The Korean War, also known as the “forgotten war” by many Americans, lives on in the daily lives of the Korean-American community. The division of the country some 70 years ago along ideological lines by two superpowers is one of the last surviving remnants of the Cold War, which seemingly ended with the fall of the Berlin wall in 1989, but continues for all separated Korean families. Torn apart by the abrupt arbitrariness of war, countless families separated in the fall and winter of 1950 believing they would be reunited within two or three weeks. That two or three weeks has become 70 years, with no end in sight. 

"잊혀진 전쟁" 이라는 6.25전쟁은 아직도 한미사회에 많이 미국인들의 일상생활속에서 매일 매일 그 남아 있는 추억과 살고 있다. 거의 70년 전에 두 강대국의 이데올로기 전쟁으로 분단 된 한반도가 마지막 남아있는 냉전 흔적이다.  Berlin 벽이 무너졌고 끝난 줄 알았지만 아직도 이 가족은 나라처럼 분단 되있다.  1950년 가을, 겨울 내내동안 비극적인 일어킨 6.25전쟁으로 셀 수 없는 가족들을 찢어지게 되었으며 2-3주안에 다시 만날 수 있을 줄 알았으며 이제 그 2-3주안에 못만나는 동안 70년이 되었고 끝이 보이지 않는다.

Enter Mrs. Chahee Lee Stanfield, a small-town librarian from the Chicago suburbs and catalyst for the Divided Families Movement in the United States. Through her research and publication of material about Korea, she discovered people in her immediate community who were desperate for any news or information about North Korea.

시카고 시회에 작은 도시의 도서관에서 사는 이차희 Stanfield씨는 등장하며 이 "이산가족" 이란 운동을 시작하는 분이다.  그 분은 한국에 대해 연구하고 출판 하면서 북한에 관한 정보에 관심이 있는 사람들이 많이 주변에 있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Most of these people were from North Korea, and I realized there are so many people around me who are suffering because they didn’t know what happened to their family members,” she says. “I knew the situation was urgent. But I really didn’t know how to start. Someone had to start it, but the issue was just too big for me to take on by myself.”

"대부분 북한에서 온 사람들이 있는데 이 사람들이 대부분 자기의 친척, 가족 어떻게 된지 잘 몰라서 고통을 겪고 있었다. 또한 내가 이 사정 얼마나 급한지 잘 알았는데도 어떻게 시작해야될지도 몰랐으며  누군가 그것을 시작해야했지만 문제가 너무 커서 스스로 해결할 수 없었다."

For this community, the Korean War is not forgotten, rather it is a reality they face every day. A reality in which they don’t even know if their brothers, mothers, fathers or sons are still alive. 

"이 사회를 보면 6.25전쟁은 잊혀지지 않고, 매일 그들이 직면하는 현실이다. 그들의 형제, 어머니, 아버지 또는 아들이 아직도 살아 있는지 알지 못하는 현실."

“Even at the height of the Vietnam war, North and South Vietnam exchanged postcards with family information on them,” says Dr. Stephen Linton, founder of the Eugene Bell Foundation. “It was a very abbreviated way of communicating, but at least people were able to keep up with who died, who was married, who was born. But the border between North and South Korea never allowed for that kind of exchange of information, so it is almost like dropping a curtain in Washington across the Potomac river, and whoever happened to be on the west side would never hear what happened to the people on the east side, and vice versa.”

"베트남 전쟁이 최고조에 이르렀 던 남북 베트남은 가족 정보가 담긴 엽서를 교환했습니다." 유진 벨 재단 (Eugene Bell Foundation)의 설립자 인 스티븐 린튼 (Stephen Linton) 박사님은, "그것은 매우 간략하게 의사 소통하는 방법 이었지만, 적어도 사람들은 누가 죽었는지, 누가 결혼했는지, 누가 태어 났는지 등을 파악할 수있었다. 하지만 남북한 국경은 그런 종류의 정보 교환을 허용하지 않았기 때문에 포토 맥 강을 가로 질러 워싱톤에 커튼을 떨어 뜨리는 것과 거의 같았습니다. 그리고 서쪽에 있었던 사람은 결코 사람들에게 일어난 일을 결코 듣지 못할 것입니다 동쪽에, 그리고 그 반대로. 


It is well known that German families of East and West were allowed to correspond via letters, phone calls and even face-to-face encounters decades before the wall came down in the fall of 1989. Some experts believe the momentum created by cross-border contacts played a key role in creating a climate of reunification for the two Germanys.

1989 년 가을 벽이 무너졌을 때까지 수십 년 전에 동서양의 독일인 가족이 편지, 전화 및 얼굴을 맞대고 교환 할 수 있는 것이 누구나 다 잘 알고 있는 사실이다. 일부 전문가들은 국경 간 접촉에 의해 탄생 한 추진력이 두 독일인 통일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했다고 믿는다.

“We know there are over a hundred American citizens who have relatives in North Korea. We have established the official channel through the commission. And we have the registry to make it easy for the first test cases,” Illinois Sen. Mark Kirk says in the “Divided Families” documentary. “The difficulty of all these efforts has been to break loose from the up-and-down cycle of U.S.-DPRK relations.”

"우리는 북한에 친척이있는 미국 시민이 백 명이 넘는다는 것을 안다. 우리는위원회를 통해 공식 채널을 설립했고 첫 번째 테스트 케이스를 쉽게 만들 수있는 등록자수 있다." Illinois 상원 의원 Mark Kirk은 "Divided Families"다큐멘터리에서 이렇게 말했다. "이러한 모든 노력의 어려움은 북미 관계의 상하 순환에서 벗어나기위한 것이었다."

However, with domestic policy in the United States as tense as ever and foreign policy focused elsewhere, the divided families are held hostage by a U.S. policy of disengagement and isolation toward the DPRK. This was not always the state of U.S.-DPRK relations, Kirk notes. 

"하지만 미국의 국내정책은 그 어느 때보다 긴장하고 국제정책은 다른 곳에 집중되어 있기 때문에 분단 된 가족은 북한에 대한 미국의 고립과 고립 정책에 따라 인질로 잡혀있다. 이것은 항상 미북 관계의 상태는 아니었다," Kirk가 말했다. 

“Things actually got pretty good between the DPRK and the United States. In 1997, 1998 and 1999, discussions looked like they had real promise. I’d like to get back there,” he says. “We have 10-15 years left before everyone who has direct relatives will have passed on. Seventy years is already too long; this should have been done long ago.”

"실제로 북한과 미국간에 상황은 꽤 좋았었는데 1997년,1998년,1999년에 내내동안 실제 개선하는 것처럼 보였다. 나는 거기로 돌아가고 싶다." 그는 말한다. "친척이있는 모든 사람들이지나 돌아가실 때까지 10-15년이 남아있다. 70년이 이미 너무 길다. 이것은 오래 전부터 벌써 이루어졌을 것이다."

The current state of U.S.-DPRK relations remains unchanged in a cycle of two steps forward, three steps back. Economic sanctions, isolation and demonization of North Korea will always be in the toolbox for U.S. diplomacy. But after banging our heads against the wall for seven decades, we would hope to learn from the lessons of the past and seek implementation of a dynamic, multidimensional policy with engagement as the centerpiece. Benjamin Franklin, possibly the greatest diplomat the United States ever produced, once stated, “If you do tomorrow what you did today, you will get tomorrow what you got today.”

미북관계의 현재 상태는 앞으로 한 걸음, 뒤로 두 걸음의 주기로 변경되지 않고 있다. 북한의 경제 제재, 고립과 악마화는 항상 미국 외교를위한 도구 상자에 포함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는 70 년 동안 우리의 머리를 벽에 치고 나서 과거의 교훈을 배우고 engagement를 중심으로 하는 역동적이고 다차원적인 정책의 실행을 모색하기를 희망한다. 아마도 미국이 만든 최고의 외교관 인 벤자민 프랭클린 (Benjamin Franklin)은 말씀에 따라서야, "오늘 내가 했던 일을 내일에 하라면, 오늘 얻었던 것을 내일 얻을 것이다. "

The United States is not, nor should it be, obligated to make concessions to the DPRK in the short or long term. However, a new policy of engagement toward the DPRK that focuses first and foremost on reuniting the divided families, is the kind of leadership the world is looking for from the United States as we transition to a peaceful 21st century of coexistence. 

미국은 단기적 또는 장기적으로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에 양보할 의무가 없지만 분단 된 가족을 재결합시키는 것은 가장 중점을 두는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에 대한 새로운 정책은 세계가 미국에서 찾고있는 종류의 지도력이다.

이 글은 2014년 12월 4일에 Korea Joongang Daily에 출판했다.

This piece was originally published December 4, 2014 in the Korea Joongang Daily

 

 

 

알아야 된 트럼프가 이긴 이유

지난 5월 이직도 한국에 있었을 때 아는 교수님은 미대선거 어떻게 될 건지에 관심이 있어서 내가 밑에 있는 내용과 비슷하게 써서 이멜로 보냈다. 이 내용은 트럼프나 힐러리 중에 누구를 지지하는 것 대신에 트럼프가 왜 힐러리를 쉽게 이길 수 있고, Bernie Sanders 대 트럼프 대선거는 왜 막상막하 있었겠다는 해석이다. 이제 출판하고 자한 이유는 우리 다 한미동맹, 한미관계가 중요한다 보니까 한미 시민들이 서로 이해가 잘 되거나 오해가 될 수 없도록 노력도 해야하며 이 내용을 출판하기로 했다. 

1.) "Old Media is Dead." 트럼프가 소셜미디어를 활용해서 시민들하고 직접  커뮤니케션을 하면서 Narrative를 지배 하거나 조절 할 수 있었다. 정보시대가 들어면서, 누구나 Smartphone를 가지고 비디오, 사진, 녹화, 콘텐츠가  구시대 국가방송들과 거의 똑같이 만들 수 있고, Facebook, Twitter, Youtube를 올리며 전세계적으로 확산시킬 수 있어서 옛날 처럼 국가방송들은 대선거후계자를 뽑을 수 없고 영향을 미치는 힘도 없어졌다. 예를들어서 시민들은 스스로 만든 작품을 한번 보세요.

가.) "도널드 트럼프를 대통령으로 만들어 줄 영상" 이란 제목

나.) "흑인 및 라티노는 도널드 트럼프를 지지하기 시작했다" 이란 제목

이제 Facebook, Youtube, Twitter 에 있는 콘텐츠하고 경쟁해야 하면서 시민들이 전통적인 옛날 언론들(TV, 라디오, 신문)에 점진적으로 신뢰성 떨어지면서, 시민들이 대부분 새 매채, 언론 platform으로 (Smartphone이나 PC-노트북) 미디어 콘턴츠를 소비하거나 관람한다. 통계를 보여줄 필요 없는데, 저의 학생들에게 물어볼 때는 다 별로 전통적인 옛날 미디어, (라디오, TV, 신문)으로 소비하지 않거나 관람하기도 하지않다고 대답했다. 이제 다들 소셜 미디어를 통해서 최신뉴스나 얻고, Facebook, Youtube, Twitter를 통해서 메시지를 전달 할 수 밖에 없다는 현실이다.

어제 낸 기사에 트럼프가 소셜미디어의 힘에 대해 말했으며, "내가 이겼다. 내가 소셜미디어에 대해 말하자면 힐러리쪽 낸 돈보다 더 힘 있다고 본다. 나의 대선거는 그 것을 증거했다.""I won," Donald Trump said. "I think that social media has more power than the money they spent, and I think maybe to a certain extent, I proved that."

트럼프가 계속히 말했는데, "나에 대한 안좋은 스토리나 틀린 스토리나 다른 기사나 다른 넷워크, 하여튼, CBS방송은 절대 그렇게 하지 않겠지만 만약에 그런 스토리를 내면 내가 싸우는 방법이다."When you give me a bad story or when you give me an inaccurate story or when somebody other than you and another-- a network, or whatever, because of course, CBS would never do a thing like that right? I have a method of fighting back," Trump told reporter Lesley Stahl. 

트럼프가 소셜 미디어를 활용하기 잘 했으며 전통적인 옛날 미디어를 우회하고 직접적으로 불만이 있는 시민들과 연결 됐으며 소통까지 드디어 잘 되었다.

2. 트럼프 = 포퓰리즘 - 미국인들은 불만을 잘 표현하고 동감 했으나 인기가 커진 것이 당연 한다.  1970-1980년 때부터 세계화가 들어오면서 미국정치인들은 중공업, 경공업과 관련된 일자리를 다른 나라로 보냈을 밖에 없다는 핑계를 댔으며 다른 더 좋은 최신기술적인 서비스적인 일자리 들어올 텐데 시민들이 아무 걱정 할 필요가 없다고 공약했지만 문제는 그때부터 지금까지 그 내내 동안 일자리 감소하는 추세고 회복 되지도 않고 이 다른 좋은 일자리가 들어오지도 않았다. 미국에서는 이 지역은 "Rust Belt" 이라고 바로 트럼프가 이겼던 Wisconsin 주, Michigan 주, Ohio 주, Pennsylvania 주까지 포함되있다. 이 주들은 1984년부터 원래 민주당과 관계 강하고 갖고 있고 "Blue Wall"이라고 했지만, 이 지역에 있는 시민들이 그 쪽에서 무시당 한 불만이있어서 불만을 잘 동감 하는 트럼프를 지지하게 되었다. 내가 지난 5월에 비정상회담에서 출현했을 때 트럼프가 포퓰리즘을 활용 잘 하는 것에 대새 설명했다.

Screen Shot 2016-11-13 at 2.02.16 PM.png
Screen Shot 2016-11-13 at 2.02.24 PM.png
Screen Shot 2016-11-13 at 2.02.52 PM.png

3. 세계화보다 국가주의 - “다시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 "Make America Great Again.” 이란 slogan를 가지고 자기의 켐페인을 시작했다. 미국 1980년대 Ronald Reagan 미대통령의 slogan, "위대한 미국을 만들자" “Make America Great,” 이용해서 비슷하게 반복했다. Trump의 연설을 보면 다 미국 우선바탕으로 파악하면 된다.  한국에 대한 연설을 보면, 한국 중심아니였고, 중심은 이 세계화적 정치들은 때문에 미국이 떨어지고 있다. 미국은 세계경찰이라는 표현이 있는데, 세계경찰로 하는 것이 너무 비싸서 한국 일뿐만 아니라 유럽, 중동 등등, 미국은 세계경찰로 계속히 한다면, 보호를 받는 나라들은 대가를 해야겠다는 입장을 표현했다. 간단히 말하면 이제 부터 우리 먼저, 세계 나중에 이란 뜻이다. 

4. 귀족주의 대 실력주의 - Bush 가족 Clinton 가족과 합쳐서 24년동안 미대통령 위치를 지배했는데, Hillary 대통령 된다면, 우리 무슨 공화국인가?  왕제도 아닌가? 하는 것이 트럼프 포퓰리즘과 관련되 있다. 미국사람들은 실력주의를 선호하는데, 이 이유는 바로 영국과 싸우고 혁명을 일어킨 이유이다. 중앙일보 선데를 위해 이 입장에 대해 설명드린 2016년 2월 28일에 "미국인이 ‘킹 부시’‘퀸 클린턴’ 거부하는 까닭," 이란 중앙선데이 칼럼을 보면 이해가 되겠다. 

 

요약 하자면 미국시민들은 Washington DC 에 있는 'Establishment' = 평생 정치인, 내부정치인을 원하지 않고, 외부정치인을 원했다.  신뢰성에 관한 현상인데  미국 정치에 신뢰성도 없고,  국가 방송, 국가신문에 신뢰성도 없고, 그리고 2008년 금융위기를 벌였다가, 은행, 금융, 등에 신뢰성도 없어서 내부인 말고 외부인만 원하는 미국시민들은 드디어 Bernie Sanders 없어서 트럼프를 뽑기로 했다. 

이 위에 있는 분석 조금 길어서 다음으로 더널드 트럼프 정부가 왜 한국인들이 두려워할 필요 없고 좋은 잡아될 기회로 생각해도 된다는 점들에 대해 설명드리겠다. 케네디는 대통령이 되기 전인 1959년 "위기는 중국어에서 '위험'과 '기회'의 두 글자로 구성된다. (When written in Chinese, the word 'crisis' is composed of two characters. One represents danger and the other represents opportunity)"이라고 연설했는데 앞으로 우리 이 한미동맹, 한미관계의 새 시대가 들어오면서 한미 시민들은 직접적으로 서로  커뮤니케션 많이 해야할 필요가 있는데 앞으로 잘 부탁드린다.  

시민 대 시민 외교: 미대생은 처음으로 북한 일상생활 깨달음

 

2016년 11월 11일에 미국 Mercyhurst University 이란 대학교에서 미대생들은 러시아와 북한 정부의 지원을 받아 제작하게 된 북한 평양주민들의 일상생활 다큐 "태양 아래"를 보고 노체인 (No Chain for North Korea) 미지부장과 논의하고 처음으로 북한 사생활에 대해 알게되었다.  

8살된 소녀 "리진미"와 만나게 된 제작진은 진미가 준비하는 김정일 국방위원장 생일 기념행사 과정을 담기로 한다. 그러나 제작진 촬영하기 직전 마주친 진미의 생활은 모두 조작되어 있었다. 그녀의 집은 새로 지은 대형 아파트로 바뀌어 있었고 진수성찬이 차려진 밥상이 있는 부엌에는 흔한 식기 하나 보이지 않았다. 더욱이 촬영할 때마다 검은 코트의 경호원들이 등장했다.

결말에 인터뷰 중 진미에게 "소년단 하면서 뭐가 좋아요?"라고 질문하자 대답을 하지 못하고 "제일 좋은 거 장점 생각해봐요." 라고 하자 조용히 울음을 터뜨린다. 그래서 질문자가 "그럼 시라도 말해봐요." 라고 하자 진미는 "소년단원 입단 선서"를 읊고 난 후에 불안한 시선을 보여주며 끝난당. - 나무 위키

영화를 본 후에 미대생들은 노체인 (No Chain for North Korea) 미지부장 현송씨와 논의했으며 북한의 일상생활, 문화, 마음까지 에대해 질문을 많이 던졌는 현송씨가 나름데로 대답했다가 의미있는 대화 이루어졌다.

Arirang Institute 미국대표 마이클 람브라우도 참가했는데,

"아주 의미 있는 행사 였다고 보고 우리 학생들은 이렇게 새로운 문화, 다른 시민의 일상생활에 대해 배우면 배울 수록 우리 세상은 더 작아지며 "시민 대 시민"이나 "개인 대 개인" 외교를 하면서 우리 국가들 서로 있는 갈등을 더 평화롭게 해결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노체인 (No Chain for North Korea)미지부장 현송은 스카이프로 미대생과 이야기를 나눴다. 

노체인 (No Chain for North Korea)미지부장 현송은 스카이프로 미대생과 이야기를 나눴다. 

미대생은 태양 아래 이란 영화를 보는 중

미대생은 태양 아래 이란 영화를 보는 중

미대생은 태양 아래 이란 영화를 보는 중

미대생은 태양 아래 이란 영화를 보는 중

Mercyhurst University에서 아리랑 문화 클럽 세웠다

2016년 10월 20일에 Mercyhurst University 이란 미국대학교에서 학생으로 운영하는 아리랑 문화 클럽을 처음으로 세웠다. 생각보다 반응이 좋았으며 첫 모임이 였는데도 25명 정도 참가했습니다. 

IMG_4882.jpg

학생 운영하는 아리랑 클럽 설립자, 사장 Mr. Vincent Cannon,

"저는 깜짝 놀랐는데, 우리 아리랑 문화 클럽을 세우기 위해서 신청하면서 Mercyhurst University에 있는 동아시아와 관련된 클럽 하나도 없다니 믿을 수 없었습니다. 그래서 우리 원래 있는 한국어, 한국문화, 한국역사, 등등 을 공부하고 자는 목표로 물론 하겠지만 이제 다른 동아시아에 관심 있는 학생들이 있어서 다 같이 공부 할 수 있다고 본다.  아리랑이란 노래는 한반도, 중국, 러시아, 일본도 부르니까 동아시아 공유하는 문화이라서 잘 될 수 있다고 생각한다."

아리랑 문화 클럽은 매주 한국어를 배우고 싶은 학생들 모이며 자유롭게 마이클 람브라우 교수님께 배우려는 학생한국어 카폐를 하고자 하기로 했다. 또한 한류에 대해 말하자면, 한국 패션, 드라마, 영화, 태권도,  김치만들기까지 활동하고 자 할 계획이 있습니다.  2016년 11월 11일에 Mercyhurst University에서 북한에서 러시아 감독이 촬영했던 "태양 아래" 이란 다큐를 제공하겠고 학생들은 다큐를 본 후에 토론이 논의 자유롭게 할 계획이 있습니다.  앞으로 활동 더 많이 할 마음이 있어서 우리도 많이 기대 됩니다. 

Spring 2016 Farewell Gathering

On June 17th, 2016 Arirang Institute held its Spring 2016 Farewell Gathering at the Capital Hotel in Seoul, Korea. The event sponsors were as follows; The Asia Institute, Kid's English Co., Shuvra Mondal Photography, and of course Arirang Institute.  The night celebrated, in true Arirang Institute fashion, the importance of human relationships in our pursuit and sustainment of a peaceful and prosperous Korean peninsula. Master of Ceremonies, Assistant Professor Earl J. Noble, of Kyonggi University, started the night off with a series of roasts and toasts for our guest of honor for the evening, Mr. Michael Lammbrau.  

MC, Professor Earl J. Noble of Kyonggi University.

MC, Professor Earl J. Noble of Kyonggi University.

Professor Matthew Fennell of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Matthew Fennell of Hanyang University.

Professor Mark Sample of Foreign Studies University.

Professor Mark Sample of Foreign Studies University.

Up first was Assistant Professor Matthew Fennell of Hanyang University, followed by Assistant Professor Mark Sample of Foreign Studies University, concluding with Professor Emanuel Pastreich of Kyunghee University. In following with the tradition inspired by the New York Friars Club, the 'roast' is understood as:

"This type of event was created as a mock counter to a toast. Such events are intended to honor a specific individual in a unique way. The implication is that the roastee is able to take the jokes in good humor and not as serious criticism or insult, and it is seen by some as a great honor to be roasted. The individual is surrounded by friends and well-wishers, who can receive some of the same treatment as well during the course of the evening. The party and presentation itself are both referred to as a "roast". Anyone who is honored in such a way is said to have been "roasted"."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s. 기미양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s. 기미양

Mrs. Conny Cho; Mr. Michael Lammbrau

Mrs. Conny Cho; Mr. Michael Lammbrau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 Tom Norris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 Tom Norris

The night also witnessed another first in Arirang Institute's short history, the creation and awarding of the "홍익인간" "Humanitarian Excellence Award." The recipients were honored for their dedication, commitment, and charity.  Mr. Michael Lammbrau stated,

"Arirang Institute would not exist if it were not for the help, support, and charity of these wonderful individuals."

For more information regarding our 2016 "홍익인간" "Humanitarian Excellence Award" awardees please click here to travel to our "Humanitarian Excellence Award" page. 

Humanitarian Excellence Awardees

Ms. Stacey Trimble

Mr. TOM Norris

Mrs. Conny Cho

Mrs. 기미양

Deacon Joseph Pak

Mr. Andy Kim,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 Michael Lammbrau, on the screen (Deacon Joseph Pak)

Mr. Andy Kim, Professor Emanuel Pastreich, Mr. Michael Lammbrau, on the screen (Deacon Joseph Pak)

The night continued with the exciting announcement of the signing of an Memorandum of Understanding (MOU) between Arirang Institute and The Asia Institute.

“Arirang Institute and The Asia Institute agree to cooperate in their research and outreach concerning peace on the Korean Peninsula and in Northeast Asia, affirming our commitment to continue close cooperation.”

With the departure of Mr. Michael Lammbrau for the United States, as an Assistant Professor of Intelligence Studies at Mercyhurst University, Dr. Emanuel Pastreich will act as an interim "Korea Representative" for the near future. Mr. Lammbrau will be the "US Representative" from Mercyhurst University in Erie, Pennsylvania. 

Mr. Michael Lammbrau, 남은혜 명창, From the band, "A Couple Cents Flat," Mr Ryan Ritter and Mr. Yvon Malenfant.

Mr. Michael Lammbrau, 남은혜 명창, From the band, "A Couple Cents Flat," Mr Ryan Ritter and Mr. Yvon Malenfant.

The night ended with a performance of the famed Korean Peoples' "National Anthem" "Arirang" followed by a performance of, "The Battle Hymn of the Republic," by Mr. Michael Lammbrau, 남은혜 명창, and from the band, "A Couple Cents Flat," Mr. Ryan Ritter and Mr. Yvon Malenfant.

통일은 내 친구 한국과 한국인의 꿈

 

5년 전 석사학위를 받기 위해 한국에 왔다. 미국에도 한국학 전공 대학원이 있고, 한국어, 한국역사, 한국에 대해 공부할 수 있지만 사실은 직접 한국에 와서 한국음식을 먹고, 한국어로 얘기하고, 한국문화를 배우고, 한국 사람과 직접 만나 대화를 나누며 한국에 대해 알아가고 싶었기 때문이었다. 


고려대학교에서 석사학위를 받기 직전 인생의 전환점이 있었다. 당시 미국으로 돌아갈까 한국에 계속 있을까 고민 중이었는데, 나의 한국 친구들은 미국에 돌아가 박사학위를 받는 것이 더 좋을 것이라면서 무조건 미국으로 돌아가라고 추천하는 것이었다. 미국에 있는 친구와 가족들의 의견도 마찬가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마음이나 머릿속에서는 왠지 모르게 한국에 계속 있어야 할 것 같은 느낌이 들었다. 한미관계 전문가나 한국과 동아시아 전문가가 정말로 되고 싶다면 한국과 먼 미국의 대학원에서 한국을 공부하는 것이 이상하지 않겠는가? 한국을 공부하려면 한국에 있어야 하지 않겠는가 하는 생각이었다.


게다가 동시에 우리 가족의 비극이기도 했던, 간암과 싸우는 어머니가 돌아가셨으니 나는 혼란스러웠다. 가족과 아버지의 허락을 받아 나는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박사과정을 시작했고 한국에 계속 살기로 했다. 그 결정은 나의 인생을 바꿔버렸다. 


이 글을 통해 나는 한국 사람들에게 감사한 마음을 전달하고 싶다. 즉 한국 친구들에게 감사의 마음을 전달하기 위해 이 글을 쓴다. 친구들이 없었다면, 나도 없다. 미국의 대학교수가 된 것, 아리랑 인스티튜트(Arirang Institute) 활동 등은 모두 나의 한국 친구들 덕분이다.


2년 넘는 동안 아리랑 인스티튜트 서울지부장으로 근무해온 이유를 묻는 사람들이 많다. 왜 통일, 남북관계, 한국 문화, 아리랑이냐고 묻는데, 사실 아리랑 인스티튜트는 나의 꿈이 아니라 한국 사람들의 꿈이다. 나는 경로(channel)일 뿐이다. 

사실 아리랑 인스티튜트는 나의 꿈이 아니라 한국 사람들의 꿈이다. 나는 경로(channel)일 뿐이다. 

 

단체를 세우기 전 친구들과 많이 상담했다. 남북관계개선을 위한 단체를 설립하는 것이 어떠냐고 물었더니 반응이 좋았다. 꼭 해보라고 응원했다. 친구들은 단체 이름까지 지어줬다. 한국에 지내면서 나는 한국인이 아니라는 것을 더욱 잘 알게 됐다. 아무리 노력해도 한국어, 한국문화, 음악, 음식 등등을 배우고 따라 해도 여전히 차이가 있고 다르다는 현실을 인정할 뿐이다. 하지만 그것도 나쁘지 않다. 괜찮다.


하지만 친구니까, 서로 사랑하고 좋아하는 친구를 위해 파이팅을 외칠 수 있다. 만일 내 친구들의 마음속에 분단된 나라에서 분단된 가족과 친구들을 만나기 위해 통일을 바라는 비밀스럽고 조용한 꿈이 있다면, 그 꿈을 이룰 때까지 평생 열심히 파이팅을 외쳐주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나는 한국 사람은 아니지만 오케이다. 아리랑과 통일 역시 나의 꿈은 아니지만 역시 오케이다. 그것은 나의 사랑하는 친구들의 꿈이다. 나는 가을학기부터 미국에 있는 머시허스트(Mercyhurst) 대학교에서 조교수로 강의를 시작하겠지만 친구들의 꿈을 위해 계속 열심히 파이팅을 외칠 것이다. 함께 일하며 한국 사람들의 꿈이 이 세상 모두의 꿈이 되고 이를 이룰 수 있도록 애쓰며 나의 인생을 바칠 것이다.   

이 글은 북한대학원대학교에서 2016년 가을에 발간될 '학인'지에 실릴 예정입니다.

Mr. Alex Sigrist and Mr. Guy Citron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On June 8th, Arirang Institute presented its final installation of the,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with two of the up and coming young media personalities and influencers in Seoul, Korea. For this final Talk we had the pleasure of meeting and speaking with both Mr. Guy Citron and Mr. 코리안 알렉스 - Korean Alex Sigrist. 

Mr. Alex Sigrist, a recent graduate from Seoul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and American from the state of Ohio.  He spoke with the students and guests about his journey to become a media personality in Seoul, Korea. Starting with a viral music video, he created with his friends, he has gone from strength to strength and now appears on TBS eFM radio, and other media shows such as Star King. 

Mr. Guy Citron

Mr. Guy Citron

Mr. Alex Sigrist 

Mr. Alex Sigrist 

We also had the pleasure to meet and speak with Mr. Guy Citron. Guy came to Korea six years ago with no particular dream but he found a home here and cultivated the discipline to become an entrepreneur. He currently runs a small video production company that has won several awards and does work for several global brand name companies. Be sure to connect with him!

Facebook
Core-A Studios

Website
www.coreastudios.com

Linkedin Profile
https://www.linkedin.com/in/guy-citron-21204b81

Mr. Guy Citron

Mr. Guy Citron

Ms. Y.ZIN Kim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On May 11th, 2016 Ms. Y.ZIN KIM of Y.ZIN KIM Photography spoke to the students, guests, and members of Arirang Institute, on leadership, professionalism, and creating and making your story for success. 

Ms. Y.ZIN KIM is the first National Geographic diver underwater photographer in Korea. She utilized high quality underwater photography techniques to become the first well known commercial photographer for underwater techniques in Korea. 

Domestically, Y.ZIN KIM and the Y.ZIN Company work consists of posters, commercials for movies, soap operas, and magazines. Currently, she is preparing for an underwater cave documentary with NAT GEO WILD as the very first female side mount cave diver throughout Asia.  She is also appointed the Shark Savers Korean Leader and is working to launch the Shark Savers campaign in Korea. 

Thanks again to all those that made this event possible. Special thanks to Shuvra Mondval Photography for their work, Ms. Y.ZIN KIM and Y.ZIN KIM Photography for taking time out for their busy schedule to speak with us. 

Ms. Julia Mellor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On April 13th, 2016 Ms. Julia Mellor, of Makgeolli Mamas & Papas 막걸리 마마스 & 파파스, spoke at the Wolfhound Pub, about her journey in Korea. After living and working on the Korean peninsula, Ms. Mellor decided, with her business partner, to create Makgeolli Mamas & Papas 막걸리 마마스 & 파파스which works toward community building through providing opportunities for the exploration and education of Korean Makgeolli culture.

Like most Expat leaders in the Seoul community, she too, was once an English teacher before striking out on her path to become a Makgeolli expert and media presence in Korea. To learn more about her story check out the podcast below.  

Full Audio Cast Below:

 

Check out Makgeolli Mamas & Papas 막걸리 마마스 & 파파스 by clicking on their MMPK logo below.

Mr. John Schuldt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On April 27th, 2016 Arirang Institute continued its Leadership Talks with its fifth speaker Mr. John Schuldt, President of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Mr. John Schuldt spoke about his life long career at the Ford Motor Company, spanning nearly three decades, and a journey around the world, with a large focus on East Asia. He spoke about the importance of putting in the time and effort to make a difference, and how personal relationships and family life played major roles in his decision making process to eventually becoming the Vice-President of Ford Motor Company Korea and now the President of the American Chamber of Commerce in Korea.

With guidance from Ms. Stacey Trimble, who filled in for Mr. Matthew Fennell as the MC for the Leadership Talks, Mr. John Schuldt fielded questions from the audience regarding the tough realities small to medium size American businesses face in South Korea and the importance of punctuality for all those who work in the business world. 

Thanks again to Shuvra Mondal Photography for the fantastic photos!

Mr. Alastair Gale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On March 23rd, 2016 Arirang Institute continued its Leadership Talks with its second speaker Mr. Alastair Gale, Seoul Bureau Chief of the Wall Street Journal.

Mr. Alastair Gale spoke at length about the make or break points during crucial transitions in his a career and life which resulted in him becoming the Seoul Bureau Chief of the Wall Street Journal. 

With guidance from Mr. Matthew Fennell, the MC for the Leadership Talks, Mr. Alastair Gale fielded questions from the audience providing valuable insights into the 'grit' it takes in 'making your own luck' in life. 

Thanks again to Shuvra Mondal Photography for the fantastic photos!

Full Audio Cast Below:

Overcoming Cultural Differences

        Living, working, studying in Korea has opened my eyes, it has opened my eyes to the cultural and psychological roots currently and historically separating the west from the east.  These roots separate us on fundamental levels of being, on the best mode of being to act in our world and with those around us.  For a quite some time these gaps and misunderstandings existed between myself and my Korean colleagues and friends. I was unable to truly understand the differences, the beginning of the differences, until I agreed to spend a week long team building exercise with a Korean organization. I loved their work, their purpose, their goals and what they were dedicating their lives to.  The issues arose not because we didn’t share these goals but rather something much more fundamental, what was the best mode to embody for our organization to successfully achieve our goals.  

       A week long trip, focused on team building activities was fun, exciting, and created a sense of community and brotherhood with my Korean colleagues. We bused out together on the first day, we all received the same equipment, gear, and clothing. We were all one, in our uniform. The first activity was a paintball competition, were we broke down into smaller teams and competed against one another. The competition was great fun and a great memory. After the paint ball team competition we bused back to our location were we would spend the rest of the night.

I quickly went into our room changed clothes, showered, and prepared for the next event on the schedule.  With time to kill, I decided to spend some alone time to recharge, besides we had 30 minutes before the next event. That didn't last long. Within minutes colleagues came into the room wondering if I was ok. I told them I just wanted to get some rest. Again, another, different colleague came in the room. This continued until I realized my plan to recharge would not be possible. I headed out to be with the group and prepare for the next event. 

After practicing for the next day's ceremony we went together, as one unit, to eat dinner.  Dinner was great. We introduced ourselves to our teams, drank, ate, and got the chance to learn more about each other. An excellent first day and I was happy, proud, and thankful to be a part of it.  Of course I was tired and wanted nothing more than to get to bed early, to start a new day, refreshed and ready to go.  

As I was laying down to sleep in our room, I started to notice, from an American point of view, an unordinary amount of people in the room. We had plenty of space, why was everyone cramming into one room. As this thought continued in my mind, our Team Leader, called an unscheduled meeting.  The staff and I left the room and gathered for the meeting.  A great day, an exciting, and meaningful day, descended into a scolding session on how we under performed our duties. Unbeknownst to me our leadership seemed to be very upset. So we all agreed to get an early nights rest, no drinking, and to come back the next day prepared to do our duty. Fair enough.  An after action review is normal, thinking of my days in the US Military. So we all went back to our rooms to get a good nights rest. But I quickly realized I would be unable to rest.  

The room now was buzzing with people, trying to find a small space on the floor to claim as their own.  The entire staff for some reason all wanted to sleep in the same room.  Of course we were all on the floor together, with no individual beds, but that too was fine, as long as I could carve out some space, some individual space for myself. I lay my head on my pillow and went to sleep. 

In what must have been the middle of the night our leadership came into the room, apparently they had stayed up, and upon entering the room, they looked for spaces to sleep.  Of course they could surely see that there was no space! They are the leadership, of course they would want to sleep in a more spacious, isolated space in the hotel.  To my amazement and shock, one from the leadership wanted to sleep between me and my already too close in proximity staff member.  He began to lay down. Shocked, stunned, and stressed beyond belief I grabbed my pillow and left the room to find more space, my own individual space to breath, relax, and rest.  

The next day I pondered what had happened.  Why could they not see how stressful cramming everyone into one room would be? Why, when their was so much space in the adjacent rooms did they all want to sleep in the same room?  I couldn’t bare one night of this, let alone a whole week. I asked my Korean friends why? Was i being immature, irrational, crazy?  They frankly told me it was normal for Koreans to all sleep in the same room, to share the same space as one. In that moment I realized the ocean which lay between us.

In American culture, at least in my family, we were taught to sleep alone, as early as possible, in our own individual bed or crib. We believe this instills a sense of independence and autonomy in our children. I still recall the shock, from early childhood of going to knock on the door of my parents bedroom to sleep with them.  And there was no answer. I went back to my room and I learned to sleep by myself, in my own space, independent of my parents.  

When I inquired more to my Korean friends about this difference in culture. They told me children sleep in the same room as their parents, often until 12-13 years of age.  Unbelievable, I thought.  This was it. This was the beginning and basis for the cultural and psychological differences between Americans and Koreans. This was were individualism and independence began for Americans, and for Koreans the importance of the group, the collective, and togetherness. 

This experience opened my eyes to how the differences, misunderstandings, and conflicts that arise between myself and my Korean friends has little to do with factors I can control, and more to do with deep rooted psychological and cultural differences. I am thankful for these experiences and my new understanding of our differences. It has allowed me to cultivate and maintain better relationships with my friends and colleagues in Korea. Our cultural differences, are just differences, no better, no worse. This is something to keep in mind as we look forward to creating a peaceful future and the importance of cultural exchanges and interactions.

The above article is an English translation of the published Korean version by Joongang Sunday and written by Mr. Michael Lammbrau. Click here for the Korean version.

Dr. Daniel Pinkston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Dr. Daniel Pinkston, former U.S. Air Force Korean linguist, long-time non-proliferation studies researcher, former North East Asia Deputy Director for the International Crisis Group, and current Professor on Yongsan Army Base, Seoul for Troy University shared, on April 6th, 2016 at the Wolfound Pub, his story.

Dr. Pinkston provided an interesting and valuable account of the journey of his life and career. A career born in the Cold War era, he discussed the incredibl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the Cold War era and the current state of security affairs.  His love for language and pursuit of new solutions for the ever changing security environment has brought him to the forefront of his field, as both an expert and a voice of reason on the Korean Peninsula.

Photo Credit to Shuvra Mondal Photography.

Mr. Todd Sample |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Mr. Todd Sample speaks to Arirang Institute's Leadership Programme Fellows and Guests at the Wolfhound Pub in Itaewon. 

Mr. Todd Sample speaks to Arirang Institute's Leadership Programme Fellows and Guests at the Wolfhound Pub in Itaewon. 

AUDIO CAST

On March 9th, 2016 Arirang Institute kicked off its "Thought Leaders" seminar series entitled, "Inspired by Courage: Talks on Leadership," with their first speaker Mr. Todd Sample.

Mr. Todd Sample spoke passionately to Arirang Institute's Leadership Programme Fellows and guests, providing valuable insights and advice through a series of real life stories during his journey in Korea over the past 20 years.

With guidance from Mr. Matthew Fennell, the MC for the Leadership Talks, Mr. Todd Sample fielded questions from the audience, speaking on everything from "nunchi" to the importance of building and supporting your network.

Mr. Todd Sample and company hosts a monthly networking event, "Wine on Wednesdays," be sure to check out their next event.

 
The Talks on Leadership MC, Mr. Matthew Fennell, provides some levity during the question and answer period. 

The Talks on Leadership MC, Mr. Matthew Fennell, provides some levity during the question and answer period.